![](/upfile/img/2017/04/festa44_1491233079.jpg)
양평 개군면 내리와 주읍리는 양평산수유마을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 3군데 큰 산수유 군락지가 있는데 구례산수유, 이천백사 산수유, 그리고 이 곳 양평산수유마을이다.
우선 내리 산수유마을로 들어가 본다.
네비게이션은 양평산수유마을 치면 된다. (경기도 양평군 개군면 내리 239-6번지)
![](/upfile/img/2017/04/festa44_1491233183.jpg)
온 마을이 산수유로 뒤덮여 있다. 100년 이상의 수령을 자랑하는 산수유 8~9천 그루가 자라고 있다. 가을에는 산수유 열매를 수확하여 농가 수익을 올린다고 한다.
![](/upfile/img/2017/04/festa44_1491234396.jpg)
![](/upfile/img/2017/04/festa44_1491234451.jpg)
![](/upfile/img/2017/04/festa44_1491233212.jpg)
![](/upfile/img/2017/04/kdkboy_1491237333.jpg)
![](/upfile/img/2017/04/kdkboy_1491237236.jpg)
여성 사진작가들이 많이 눈에 띈다. 역시 꽃은 여자의 몫인가?
그리고 시금치 냉이 마늘 파 등이 봄의 식욕을 채워준다.
밭에서 할머니들이 계속 채취하는 모습이 보인다.
![](/upfile/img/2017/04/festa44_1491233497.jpg)
![](/upfile/img/2017/04/festa44_1491234487.jpg)
그리고 한돈 숯불구이 냄새가 코를 찌르고 연기가 하늘로 피어 오를 때 축제 분위기가 난다.
한우축제인데 돼지고기가 왜 이리 잘팔릴까? 물론 한우는 더 많이 팔린다.
![](/upfile/img/2017/04/festa44_1491234648.jpg)
옛날에는 농업의 도구였는데 이제는 식재료의 최고봉인 한우
양평한우를 보니 동물같지 않고 나는 왜 입맛이 도는가?
![](/upfile/img/2017/04/festa44_1491233527.jpg)
![](/upfile/img/2017/04/festa44_1491233556.jpg)
내리의 산수유 마을을 구경하고 실컷 배를 채운 뒤 이제는 주읍리로 가본다.
양평군 개군면 주읍리 102-4번지 마을의 중심으로 들어가 본다.
![](/upfile/img/2017/04/admin_1491831189.jpg)
논바닥을 주차장으로 제공해 주는 마을 주민들의 서비스에 감탄하게된다.
농부의 땀이 서려있는 논밭 사이로 산수유는 경쟁적 기세를 보이며 노오란 아름다움을 뽐내고 있다.
![](/upfile/img/2017/04/festa44_1491233257.jpg)
![](/upfile/img/2017/04/festa44_1491233620.jpg)
![](/upfile/img/2017/04/festa44_1491233650.jpg)
주말이라 그런지 사람들이 참 많이 왔다.
참여형 프로그램이나 볼만한 축제프로그램이 없는데..
봄꽃 관광형축제요 식도락축제다. 그리고 농촌체험형 축제요 힐링축제다.
![](/upfile/img/2017/04/festa44_1491233662.jpg)
이제 내리와 주읍리의 양평산수유마을은 부행사장이라고 명명되었고
개군면 레포츠공원이 주행사장으로 자리를 잡았다.
마을에서 큰 축제를 치를 수 없기에 메인무대를 이 곳에 잡았나 보다.
![](/upfile/img/2017/04/festa44_1491235157.jpg)
![](/upfile/img/2017/04/festa44_1491233700.jpg)
![](/upfile/img/2017/04/festa44_1491233750.jpg)
주행사장과 2군데 부행사장을 오가는 셔틀버스가 계속 있어서 축제참여객들은 고마워했다.
그리고 여기저기 주차안내요원들은 마을 주민인듯 보였는데 얼굴에 천사같은 미소를 띠고 아름다운 봉사를 했다.
![](/upfile/img/2017/04/festa44_1491235485.jpg)
![](/upfile/img/2017/04/festa44_1491235519.jpg)
![](/upfile/img/2017/04/festa44_1491236475.jpg)
![](/upfile/img/2017/04/festa44_1491235549.jpg)
대형 식당 안에 자리잡은 양평한우 시식회,
가족단위 축제참여객들에게 최고의 인기를 구가했다.
각자 알아서 소고기를 사다가 바베큐시설 된 자리에 앉아 양평한우의 독특한 맛을 즐기는 것이다.
육즙이 좀 다른 것 같아 과식하지 않을 수 없는 주말이었다. 즐거운 축제였다.
아쉬운점이라면,
- 예술가 손길이 없는 마을 농축산물 판매행사 같았다.
- 산수유마을 상징하는 조형물이나 기념품이 없었다.
- 서비스는 좋은데 콘텐츠는 빈약했다.
- 젊음을 유도하는 분위기는 아니었다.
- 포토존 파티난장 생음악 오감만족프로그램 참여객동선개발 등 기획되지 않았다.
- 갑자기 비가 왔는데 우천시 객석에 대한 대비가 없었다.
![](/upfile/img/2017/04/festa44_1491236452.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