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file/img/2021/11/jssuh_1636873360.jpg)
용두 산아 용두 산아 그리운 용두 산아
세월 따라 변하는 게 사람들의 마음이냐
둘이서 거닐던 일백구십 사 계단에
즐거웠던 그 시절은 그 어디로 가 벼렸나
잘 있거라 나는 간다 꽃 피던
용두산아 용두산 엘레지
최지수 작사 용두산에레지의 2절 가사다.
요즘 인기있던 TV프로 보이스트롯과 미스트롯2에서 자주 애창되던 곡이다.
![](/upfile/img/2021/11/jssuh_1636873782.jpg)
용두산은 옛부터 소나무가 울창하여 송현산(松峴山)이라 불렀고, 초량소산(草梁小山)이라고도 하였다. 그리고 용이 백두대간을 타고 내려와 바다를 향해 뻗어 나가는 용의 머리에 해당하여 용두산이라 불렸다.
이 곳 용두산에는 조선 후기 초량왜관(1678~1876)이 있었으나 개항(1876년) 이후 일본인 전관거류지가 조성되었고, 일제강점기에는 식민지 부산부의 중심지이자 항일독립운동의 거점이 되기도 하였다.
![](/upfile/img/2021/11/jssuh_1636874521.jpg)
광복후 한국전쟁기에는 국립국악원, 중앙정부기관 일부 그리고 피난민들의 판잣집들이 있었으나 1954년 용두산 화재로 불타 없어졌다. 그 후 이승만 대통령 때 녹화사업이 이루어져 우남공원으로 불리다가, 4.19때 용두산공원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upfile/img/2021/11/jssuh_1636874355.jpg)
부산항을 한 눈에 조망할 수 있는 용두산 공원..
해발 69m꼭대기에 높이 120m의 부산타워가 우뚝 솟아 있다.
![](/upfile/img/2021/11/jssuh_1636874427.jpg)
숲이 우거진 산책로가 있고, 충무공 이순신 장군 동상이 있다.
시민의 종, 꽃시계, 열린문화공연장, 부산출신시인의 시비, 벽천폭포 등이 있어 관광지가 되었고, 부산의 대표 도시공원이다.
![](/upfile/img/2021/11/thefestival_1636899123.jpg)
![](/upfile/img/2021/11/jssuh_1636874472.jpg)
부산의 축제가 이 주변에서 올 겨울 수놓을 거라고 한다.
오늘도 (2021년 11월 14일 Sunday 낮에) 제68회 한얼노인교육축제가 열리고 있다.
![](/upfile/img/2021/11/thefestival_1636899188.jpg)
![](/upfile/img/2021/11/jssuh_1636875101.jpg)
![](/upfile/img/2021/11/jssuh_1636875203.jpg)
왜관은 조선과 일본 양국 문인이나 지식인이 만나 필담을 나누고 양국의 문화교류가 이루어지던 곳이다.
조선후기에는 부산에 절영도왜관, 두오포왜관, 초량왜관 등 세 곳이 있었는데, 이들 가운데 초량왜관은 가장 오래 존속하였다. 약 200년 존속해 오던 초량왜관은 1876년 개항과 함께 일본전관거류지로 바뀌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