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file/img/2023/08/jssuh_1693053429.jpg)
천사 보물섬 강화의 갯벌 그리고 천연기념물 저어새 두루미
특히 저어새는 부리를 물속에 담그고 좌우로 저어서 먹이를 찾아 먹는 새라서 저어새
![](/upfile/img/2023/08/jssuh_1693053451.jpg)
영어로는 부리가 숫가락을 닮았다 해서 Spoonbill
강화갯벌센터 등지에서 활동할 어린이 저어새 수호대가 생겼습니다 (2023년 제5期 모집됨)
![](/upfile/img/2023/08/jssuh_1693053481.jpg)
저어새는 세계적으로 멸종위기에 있다가 이렇게 보존정책들이 나오면서 점점 그 개체수가 늘어 나고 있답니다. 좋은 일이지요. 우리나라에서 서식하고 활동하는 저어새는 Black-faced Spoonbill Minor
![](/upfile/img/2023/08/jssuh_1693053507.jpg)
![](/upfile/img/2023/08/jssuh_1693053518.jpg)
겨울에는 대만 등지에서 주로 있다가 봄에 우리나라로 많이 날아와 번식과 서식과 활동을 하는데
우리나라에는 저어새(Black-faced Spoonbill)와 노랑부리저어새(Yellow-billed Spoonbill) 두 종류가 있다네요~
![](/upfile/img/2023/08/jssuh_1693053571.jpg)
![](/upfile/img/2023/08/jssuh_1693053632.jpg)
![](/upfile/img/2023/08/jssuh_1693053541.jpg)
![](/upfile/img/2023/08/jssuh_1693053666.jpg)
천연기념물이자 멸종위기종 1급인 저어새. 전 세계 생존개체수가 5,000마리 안팎인 저어새의 주요 번식지가 강화 인근 무인도입니다. 중요한 저어새 번식지 중 하나인 각시바위를 찾아 저어새를 관찰합니다.
<프로그램 진행 내용>
1. 실내 교육: 프레젠테이션 교육(40분)
- 저어새의 생태와 천연기념물의 중요성
2. 저어새선상탐조(1시간30분)
각시바위 탐조(선박 이용)
* 선박을 이용하는 프로그램의 특성 상, 신청자가 5명 이하일 경우 취소됩니다.
* 장소: 분오저어새생태마을커뮤니티센터, 각시바위 등 저어새 번식지
* 인원: 1회 6~10명 (선착순)
* 전화예약: 010-4759-4953 (생태교육허브 물새알)
![](/upfile/img/2023/08/jssuh_1693053675.jpg)
![](/upfile/img/2023/08/jssuh_1693053693.jpg)
![](/upfile/img/2023/08/jssuh_1693053706.jpe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