융건릉(隆健陵)은 사적 제206호로 지정된 문화재로 장조(사도세자)와 그의 비 헌경왕후(혜경궁 홍씨)를 합장한 융릉(隆陵)과 그의 아들 정조와 효의왕후를 합장한 건릉(健陵)을 합쳐 부르는 이름으로 경기도 화성시 안녕동에 있다.
융릉(隆陵)은 조선 정조의 아버지이자 사도세자로 알려진 조선 장조(莊祖, 1735년~1762년)와 혜경궁 홍씨로 널리 알려진 헌경의황후(獻敬懿皇后, 1735년~1815년)가 함께 모셔진 능이다.
본래 사도세자의 묘는 원래 경기도 양주시 배봉산(현재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기슭에 수은묘(垂恩墓)로 있었으나 왕위에 오른 정조가 사도세자를 장헌세자(莊獻世子)로 추숭하고 난 뒤, 묘를 영우원(永祐園)으로 높였으나 묘지 이장을 준비하고 곧 그의 지시로 지금의 자리로 옮겨 현륭원(顯隆園)[1] 이라 이름붙였으며 효성이 지극한 정조는 죽은 후 그 곁에 묻혔다고 전해진다. 1899년 대한제국 고종은 왕계 혈통상 고조부인 장헌세자를 장조로 추숭하면서 현륭원이란 명칭도 융릉으로 격상시켰다.
건릉은 조선 제 22대 왕인 정조와 효의왕후의 합장릉이다.
융건릉 안의 산책길이 잘 가꾸어져 있다.
융릉 쪽에는 소나무 숲이 있고 건릉 쪽에는 참나무 숲이 있다.
장조 사도세자 (1735 ~ 1762)
장조는 조선 21대 영조의 둘째 아들이자 22대 정조의 생부이다. 1735년(영조 11) 1월 21일 영빈 이씨의 몸에서 태어났다. 효장세자(추존왕 진종)가 요절하였으므로, 2세가 되던 해인 1736년(영조 12) 3월 15일 왕세자에 책봉되고, 1744년(영조 20) 10세의 나이로 영의정 홍봉한의 딸과 가례를 올렸다. 어려서부터 매우 총명하여 3세가 되었을 때 이미 『효경』을 외울 정도였으며, 수시로 글을 쓰고 시를 지어 대신들에게 나눠주기도 하였다. 다양한 방면에서 왕세자로서의 뛰어난 면모를 갖춰 부왕인 영조의 기대는 매우 컸다.그러나 1749년(영조 25) 1월 23일 영조의 명으로 대리청정을 시작하자, 그를 경계하는 노론 및 영조의 계비 정순왕후가 모함을 하여 영조와 세자 간의 갈등이 비롯되었다. 1762년(영조 38) 형조판서 윤급의 청지기였던 나경언이 세자의 비행을 고하는 상서를 올리자 크게 노한 영조는 나경언을 처형하고, 세자에게 자결할 것을 명하였다. 그러나 세자가 명을 따르지 않자 폐서인한 후 뒤주에 가두어 8일만에 숨지게 하였다. 이 때 세자의 나이는 28세였다. 영조는 자신의 행동을 곧 후회하고, 애도하는 뜻에서 ‘사도’라는 시호를 내렸다.
정조 (1752 ~ 1800)
11세 때 아버지 사도세자가 죽은 이후 할아버지인 영조에 의해 요절한 효장세자의 양자로 입적되어 왕통을 계승하였다. 1775년부터 1776년까지 할아버지 영조를 대신하여 대리청정을 하였다. 1776년 영조의 승하로 즉위하여 1800년까지 조선의 제22대 국왕으로 재위하였다. 재위 초기 홍국영에게 막강한 실권을 주는 세도 정치를 하였으나 1780년 홍국영을 실각시킨 뒤로는 친정을 하였다.
『정조실록』 1793년(정조 17) 1월 12일의 기사에는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다. 왕이 현륭원을 뵈러 가는 길에 관왕묘(關王廟)에 들렀다. 과천(果川)에서 주정(晝停)하였다. 인덕원(仁德院) 들녘을 지나다 길가의 부로(父老)들을 불러서 위로하며 고통스러운 것이 무엇인지를 물었다. 저녁에는 수원 행궁에 머물렀다.아버지 사도세자의 묘가 있는 수원 화성에 자주 행차했던 정조의 효성은 익히 알려져 있다. 그러나 정조의 능행길은 단순한 참배를 위한 것만은 아니었다. 위의 기록이 말해주듯이 정조는 능행길에서 백성들과 소통하였다. 기록에 의하면 정조는 궐 밖 행차 중에 3,355건의 상언과 격쟁을 처리하였다. 한 번 행차마다 약 50건의 민원을 처리한 셈이다.조선 후기의 많은 왕들이 이를 행했으나, 정조는 특히 상언과 격쟁을 처리하는데 적극적이었다. 이는 정조의 화성행차가 단순히 아버지에 대한 효심을 보여 주는 데서 그친 것이 아니라, 행차가 지나가는 시흥, 과천, 화성 일대 주민들의 민정을 직접 시찰, 민원을 해결하는 기회로 활용했다는 것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