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00년 인삼의 종주지 금산」에서 제조한 인삼약초 가공품중 품목별 시험분석기준과 시설물기준 항목강화 또는 추가로 정하여 이에 적합한 제품을 금산군수가 품질인증한 제품입니다.
첫째, 고려인삼의 종주지 금산에서 가공한 제품입니다.
둘째, 국내인삼을 원료로 만들었습니다.
세째, 식품위생법, 유효성분량을 강화 하여 제품의 품질을 높였습니다.
네째, 안전성 강화를 위하여 유해물질 검사를 실시 하였습니다.
- 중금속, 보존료, 타르색소(불검출), 벤조피렌(1.0ppb이하) 검사
- 잔류농약검사 유해물질 검사
- 먹는물수질검사 음용수 기준 46개 항목 검사
다섯째, 식약청 우수건강기능식품제조 및 품질관리기준에 준하여 쾌적하고 맑은물, 좋은시설에서 제조, 가공하였습니다.
지정제품
1. 6년근고려홍삼정골드 =>제품보기 클릭
2. 고려홍삼정골드 홍삼농축액 =>제품보기 클릭
3. 6년근고려홍삼진액골드 =>제품보기 클릭
4. 고려홍삼진액골드 => 60포제품보기 클릭, 50포=>제품보기 클릭
금산인삼의 유래
1.고려인삼의 유래
4500∼5000년전 민간의(民間醫)에 의해 고려인삼을 약용으로 사용하였으며 영약, 선약, 불로초 등으로 불리워지면서 삼국시대에 중국까지 전파됨. 중국의 후한헌제 건안년대(서기 196∼220)의 장중경의 저서 상한론과 그후 명의별록, 신농본초경 등에 인삼이 귀중한 약재로 사용되었다는 기록이 있음.
2. 인삼에 얽힌 강처사 전설(금산인삼의 유래)
남이면 성곡리 개안이 마을은 인삼의 눈을 뜨게 한 곳이라는 뜻으로 다음과 같은 설화가 전해오고 있다. 지금부터 약 1,500여년 전에 강씨 성을 가진 선비가 일찍이 부친을 여의고 모친마저 병들어 자리에 눕게 되었다. 효자인 아들은 진악산에 있는 관음굴에서 정성을 들여 모친의 병을 낫게 해달라고 빌고 또 빌었다. 그러던 어느날 꿈속에서 산신령이 나타나 관음불봉 암벽에 가면 빨간 열매 세 개가 달린 풀이 있을 것이니 그뿌리를 달여드려라. 그러면 네 소원이 이루어질 것이다. 하고는 홀연히 사라졌다.강선비는 꿈이 하도 이상하여 꿈속에서 본 암벽을 찾아가니 과연 그런 풀이 있어 뿌리를 캐어 어머니께 달여드렸더니 모친의 병은 완쾌되었고, 그 씨앗을 남이면 성곡리 개안이 마을에 심어 재배하기 시작하니 이것이 우리고장에서 처음으로 인삼을 인공적으로 재배하게 된 것이라고 하며, 인삼의 모양이 마치 사람의 모습과 비슷하다 하여 人蔘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한다.
3.금산인삼의 효능
과학적으로 밝혀진 금산 인상의 효능
불과 20여년 전가지만 하더라고 고려인삼의 약효는 동양사람의 신앙 가운데서 존재하는 것이라고 과학자들은 인삼의 약효를 부정하여 왔다.
그러나 1957년에 인삼 사포닌이 인삼약효의 유효성분이라는 것이 밝혀지기 시작하면서부터 인삼 성분의 약리작용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전개되어 드디어 1969년에 인삼의 약효가 샹체의 비특이적 저항성을 증가시켜 주는 작용(Asaptogenic activity)을 한다고 밝혀내기에 이르렀다. 이는 한방의학에서 말하여 온 ‘상약(上藥)’이라는 개념이 과학적으로 입증된 것이며, 인삼의 약리 연구가 세계인의 관심의 대상이 되는 계기가 되었다.
중국의 가장 오래된 본초서인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에 365종의 약이 올라있는데 이를 상품약 120종, 중품약 120종, 하품약 125종으로 구분하고 있다.
상품약은 ‘주량명(主養命), 무독(無毒), 다복불상인(多服不傷人)’이고 중품약은 ‘주양성(主養性命, 유독무독(有毒無毒), 침작기의(針酌其宜)’ 이고 하품야은 ‘주치병(主治病), 다독불가구복(多毒不可久服)’이라고 되어 있다.
뜻을 풀어보면 상품약은 ‘사람의 수명을 연장 시키고 돌이 전혀 없으며 아무리 오랫동안 많이 복용하여도 인체에 해가 없는 약’을 이르는 것인데, 그중에서 으뜸으로 꼽는 것이 바로 인삼이다. 또한 우리나라의 허준이 쓴 『동의보감』에도 “인삼의 성질은 약간 따뜻하고 맛이 달며 독이 없다. 주로 오장의 기가 부족한데 쓰며, 정신을 안정시키고, 눈을 밝게 하며, 심규를 열어주고 기억력을 좋게 한다.
또한 허손된 것을 보하며 곽란으로 토하고 딸국질하는 것을 멎게 하며, 폐 위로 고름을 뱉는 것을 치료하며 담을 삭힌다.” 는 기록이 있으며, 처방중에 상당부분 인삼을 처방하였다.
4. 금산인삼의 모양과 각 부분의 쓰임새
□ 꽃/열매
꽃은 3년생부터 피기 시작하며, 처음 초롯빛을 띠던 열매는 무르익으면서 붉게 변한다. 흔히 ‘인삼딸’ 이라고 부르는데 이것을 따다가 말린 것을 종자로 쓴다.
□ 잎
잎은 잎자루가길고 잎몸은 5갈래져서 산개의 잎꼭지에 여러개의 작은잎이손바닥처럼 붙어 있다.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는가는 톱니모양을 하고있다.
□ 뿌리
이부분이 바로 인삼이다. 약용과 식용으로 널리 사용된다.
□ 뇌두,삼머리
인삼은 다년생으로 해마다 잎과 줄기가 말라서 죽는데,이때마다뇌두에 흔적을 남긴다. 생삼의 경우 뇌두가 튼 것을 고가품으로 치는데, 특히고려인삼은 다른 나라 삼에 비해 뇌두가 큰 것이 특징이다.
□ 주근, 동체
인삼의 가장 중심 부위로 여러 형태로 가공처리되어 약용과 식용으로 쓰인다.
□ 지근
보통 2~5개의 지근이있다. 지근의수는 토질,재배방법,년수등에 의해 차이가 난다.
□ 세근
이 부분만 떼어낸 것을 미삼이라고 하며 인삼차 등에 사용된다.